webm 변환 알아보기 본문
webm 변환 알아보기
webm 변환 방법입니다.오버워치나 리그오브레전드 등의 게임에서 플레이 영상을 녹화하는 경우 생성되는 영상 확장자로 이걸 스마트폰이나 기타 플레이어에서 재생이 되게끔 만들어주는 webm변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것과 온라인에서 업로드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온라인의 경우 올리는 파일의 총 용량이 100메가 이하이어야 합니다.
webm 변환에서 첫번째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예제에서는 카카오 인코더로 작업을 해보겠습니다.안전하게 받으시려면 네이버 자료실이 좋으며 굳이 카카오 인코더가 아니더라도 해당 작업을 지원하는 소프웨어는 아무거나 이용하셔도 상관없습니다.
실행을 한후 중간쯤에 보이는 파일 추가를 눌러 webm파일이 상단의 목록에 보이는지 확인을 해준후 하단의 원본폴더에 체크를 해주세요.그 다음이 어떤 파일으로 바꿀지 선택을 해야 하는데 오른쪽 확장자 폴더에서 원하는 폴더를 더블클릭해 세부 확장자 목록에서 한개를 선택해줍니다.
확장자 목록에서 한개를 선택해주면 세부적으로 조절할수 있는 옵션창이 뜨는데 잘 모르실 경우에는 그냥 하단의 적용 버튼을 눌러 기본으로 두셔도 되고 나중에 조금씩 옵션을 조절하면서 어떻게 변하는지 확인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옵션까지 마쳤으면 우측 하단의 변환 시작버튼을 눌러주시면 되고 바로 위의 진행상황 게이지를 100%가 되면 저장된 위치로 이동해 확인만 해주시면 됩니다.앞서 원본폴더에서 저장에 체크를 해놓았기 때문에 결과물은 처음 파일을 불어온 폴더에 있게 됩니다.
두번째는 온라인으로 업로드해서 작업하는 방식으로 해당 사이트(바로가기)로 들어가서 연두색 사각형으로 표시한 컴퓨터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해 변환하고자 하는 파일을 불어오시면 됩니다.처음에 언급드렸듯이 업로드 총 용량은 100메가를 넘어서는 안된다는 점 미리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파일을 불러온후 확장자 선택에서 원하는 확장자를 선택후 하단의 '변하게 하다'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참고로 중간의 '더 많은 ~'을 눌러 다수의 파일을 한번에 처리할수도 있는데 파일을 합친 용량이 100메가를 넘으면 안됩니다.
버튼을 눌러준후 작업이 진행되는데 연두색 사각형 부분에 진행률이 표시되며 작업시간은 용량에 비례 즉 용량이 클수록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됩니다.아무래도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방법보다는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완료가 되면 진행률 부분이 버튼으로 바뀌게 되는데 버튼을 눌러 완료된 파일을 저장해주시면 끝입니다.
webm 변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용량 기준으로 100메가가 넘으면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야 한다는 점만 알아두시면 되겠습니다.